29일 오전 10시경 당진시청 앞에서 열린 송전철탑 건설 반대 대규모 집회 현장에 머리에 띠를 두른 주민들이 구름같이 모여들었다.
당진 345킬로볼트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위원장 최기환)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북당진~신탕정 변전소간 송전탑 지중화를 요구하고, 당진시에 300여개의 송전탑을 더 세우는, 정부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전면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당초 대책위 측은 이 사안에 대해 한국전력공사 측과 지난 9월과 10월 두 달 동안 협의를 가졌지만 결렬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송전탑 지중화와 정부의 승인만으로 송전탑 건설을 좌지우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개발촉진법도 개정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날 집회에 참여한 김종석 당진시 개발위원장은 “정부가 당진시민들을 계속 외면할 경우 밀양 사태와 같은 대규모 집회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날 집회에는 당진시 주민 뿐 아니라 이철환 당진시장과 박장화 당진시의회 의장, 안효권 부의장을 비롯해 양창모, 편명희, 인효식 의원 등 당진시 의원들도 참석해 뜻을 모았다. 이철환 당진시장은 “주민 여러분이 가는 길이라면 어디든 따라가겠다.”며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들의 의지에 힘을 보태겠다는 의사를 강력히 표현했다.
이 날 오전 시청 앞에서 집회를 마친 주민들은 송전탑을 상징하는 상여를 부수고 풍선을 날리는 등 퍼포먼스를 벌인 뒤 읍내동에 위치한 한국전력공사 당진지사로 가두행진을 벌였다.
한편 현재 당진시에는 15개 송전선로 노선에 521개의 송전탑이 세워져 있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송전탑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가 발표한 제6차 전력수급 기본 계획에 따라 300여 개의 송전탑이 더 세워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17일 충남발전연구원이 '송전선로의 사회경제적 피해와 충남의 대응방안'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표해 충남 지역 송전선로의 피해 현황과 위험성에 대해 시사하고,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낸 이 시점에서 앞으로 정부와 한국전력공사 측이 어떠한 대안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