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16. 12. 26 [국립무형유산원, ‘당진의 무형문화유산’발간]

 

 

국립무형유산원이 ‘당진의 무형문화유산’ 서적을 발간했다.

 

한국민속학회 당진지역무형문화유산 조사단이 집필한 ‘당진의 무형문화유산’은 지난해 당진시가 ‘2015 올해의 무형유산도시’로 선정되면서 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의 성과물이다.

 

이 책에는 비록 지정 무형문화유산으로는 등록돼 있지 않지만, 보존과 계승가치가 높은 총 24건의 비지정 무형문화유산이 소개돼 있다.

 

책 구성은 당진시 무형문화유산의 전승현황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시작으로 소재지, 전승자, 역사, 주요 내용, 문화적 기능, 보호조치 등 항목별로 나눈 지역무형문화유산 소개와 당진지역 무형문화유산의 미래를 위한 제언 순으로 돼 있다.

 

소개된 주요무형문화유산으로는 안섬 배치기, 연도, 대호지면 농요, 남사당과 새납쟁이, 당진의 마을농악, 짚풀공예, 대장장 문화 등이다.

 

보고서에 나온 무형유산 중 '안섬 배치기'는 당진 안섬 주민들이 고기잡이를 나가 만선으로 돌아오면서 부르는 노래이며 '연도'(練禱)는 우리나라 천주교 전통이 만들어낸 독특한 노래로 망자를 위해 드리는 기도이다.

 

또 당진 장고항에서 잡은 생선인 실치에 채소를 더해 버무린 '실치회무침', 짚단을 쌓아 올린 짚가리 아래에 보관하는 농주인 '짚가리술' 등 음식 문화도 수록됐으며 볏가릿대 거북놀이와 농기문화도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 유산으로 소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당진의 무형문화유산 서적은 내년에 진행할 해양민속 조사사업과 공동체 민속 기록화 사업 등의 연구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소개된 무형문화유산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 문화재 지정 등의 후속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