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맨트]
당진항 송산지구 일반부두 2선석이 해양수산부의 제 3차 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에 반영됐습니다.
항만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가 계획인 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돼야만 하는데요,
이 계획에 따라 당진 평택항의 화물 처리 능력은 현재 8500만 톤에서 2020년까지 1억 천 6백만 톤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레이션]
해양수산부가 수립 및 고시한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충남도 내 7개 항만, 37건에 2조 8556억 원이 반영됐습니다. 전체 예산 중 약 28%가 국비 7919억 원으로 나타났고 민간자본은 72%에 달하는 2조 637억 원이 투자될 계획입니다.
항만기본계획은 항만계획에서 최상위 계획으로, 항만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가계획인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돼야 하는데요,
항만기본계획은 항만을 개발 촉진하고 항만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10년 단위로 수립하며 항만기본계획이 수립된 날부터 5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해 필요한 경우에 항만기본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항만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22011년 7월 수립한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에 대해 국내외 해운항만 여건변화를 반영해 항만기본계획 타당성을 재검토했고, 전국 무역항과 연안항 59개 전 항만에 대한 수정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여기에 당진항 송산지구 일반부두 2선석이 해양수산부의 제 3차 항만 기본계획 수정 계획에 반영되면서 3차 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에 따라 당진 평택항은 2020년까지 2만 톤급 잡화부두 등 15선석이 증가하게 되며, 항만의 화물 처리능력은 3천만 톤이 증가하게 돼 현재 8500만 톤에서 1억 천 6백만 톤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내용을 세부적으로 보면 핵심 국가 기간산업의 물류 기반 강화를 위해 송산지구 일반부두 2선석이 반영 확정됐으며, 당진항 송산지구 다목적 신규부두는 기존 제철 및 철강 전용항만에서 일반화물을 취급하는 상업항 기능을 추가하는 사업으로 다목적 신규부두가 완성되면 당진항 배후권역에서 발생하는 물동량이 평택항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져 물류비 절감 등 항만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