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맨트]
충남의 석탄화력발전소 현황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이 나왔습니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3개 중 26기가 충남에 밀집해 있고 신규로 7기가 건설, 2기가 계획 중에 있어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은 충남에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같은 움직임에 반발해 김홍장 당진시장이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농성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내레이션]
최근 서탄화력 발전소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의 석탄화력 발전소 현황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이 나왔습니다.
충남에는 1983년에 처음으로 보령화력 1, 2호기와 서천화력 1,2호기가 준공됐으며, 태안화력과 당진화력 1,2호기는 1993년에 준공됐습니다.
이후 꾸준히 추가 건설돼 현재 보령화력은 8기까지 늘어난 상태고, 태안화력과 당진화력도 8기까지 준공돼 운영 중에 있습니다.
충남연구원이 발표한 ‘충남 석탄화력발전 현황’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3개 중 26기가 충남에 밀집해 있으며, 신규로 7기가 건설되고 있고 2기가 계획 중에 있는데요, 인포그래픽만 봐도 이미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이 충남지역에 몰려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석탄화력발전소 별로 가동년도도 다르고 이에 따라 연료 사용량과 전력 생산량, 오염물질 배출량에도 차이가 있는데 보령화력에서는 50만 kw급 1-8호기가 가동 중이고 신 보령화력에서는 100만kw급1-2호기, 서천화력에서는 20만kw급 1-2호기가 가동 중입니다.
하지만 당진화력에서는 50만kw급 1-8호기와 100만kw급 9호기가 가동 중이며, 100만kw급 10호기가 가동을 앞두고 있습니다.
여기에 당진에코파워 석탄화력발전소 50만 kw급 1-2호기가 추가 계획 중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었는데, 이같은 움직임에 반발해 김홍장 당진시장은 당진에코파워 증설 중단 등을 요구하면서 일주일 동안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농성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산업통상자원부의 당진에코파워 전원 개발 실시계획 승인이 무기한 연기됐고, 김 시장과 범시민 대책위원회는 전면 철회가 이뤄질 때까지 반대시위를 계속할 것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