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당진시와 충남 연구원이 당진시청에서 제 2차 충남 현장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최근 석탄화력 발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과 미세먼지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 토론도 열렸습니다.
[내레이션]
당진시청에서 당진시와 충남연구원이 석탄화력발전소에 의한 환경피해 및 대기오염 실태에 대한 주제로 제2차 충남현장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포럼이 열린 것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과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그에 맞는 미래 전망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충남 석탄화력 발전소, 멈춤 신호가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진행됐습니다.
포럼은 김홍장 당진 시장의 기조 발제로 시작됐는데요,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시민 모두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어 기존 석탄화력 발전소의 배출기준을 수도권과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말하며, 충청권의 환경오염 개선은 물론 대기환경의 개선을 위해 신속하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전대학교 환경공학 김선태 교수의 충남 대기오염 실태와 관리 현황에 대한 발표가 있었습니다. 김선태 교수는 최근 발표된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사업 추진 실태 감사 보고서를 참고하고 외국 자료를 인용하며 충남 화력발전소를 포함한 대기오염 배출원의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앞으로는 질소 산화물과 같은 기준성 물질보다 위해성이 높은 중금속 물질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당진지역에 있는 화력발전소가 더 큰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것은 이곳에서 발생한 대기오염 물질이 봄철에는 북서풍에 실려 한국 전체로 퍼져나가고 있기 때문이고, 그 중심에 서있는 당진시를 비롯한 충남도는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폐 깊숙이 침투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초 미세먼지는 특히 서해안에 위치한 화력발전소 인근에서 대거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