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곳곳에서 눈에 띄는 간판들.
한글 간판보다 읽기 어려운 외래어 간판이 많이 눈에 띈다.
가게명으로 한글 대신 알파벳이 이루어진 곳도 있고, 아예 영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해 놓은 곳도 있지만 한글 간판보다 가독성이 떨어져 보인다.
특히 나이가 있으신 노인 분들에게 영어 간판은 어렵게만 느껴진다.
< 고대면 장항리 주민 인터뷰 >
이렇게 간판의 이름이 어렵다 보니 간판에 적힌 가게명을 제대로 읽기도 힘들다.
< 읍내동 가게 주인 >
서울에 위치한 인사동의 경우 한글 간판을 특징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발걸음을 끌어 모으고 있다.
당진의 거리도 우리의 소중한 한글 간판을 이용한 관광 도시로의 발전을 꾀할 때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