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김동완표 혼합형 시장정비사업 브레이크 걸리나

 

김동완 국회의원이 당진 전통시장 개발 방안으로 제시했던 혼합형 시장 정비사업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당진재래시장은 지난 10여년 동안 당진시가 주체가 되는 재건축 방식과 신탁회사와 시장상인 등이 설립한 SPC가 주체가 되는 재개발 방식을 놓고 공방을 벌여 왔었다.

 

김동완 국회의원은 지난 6월 지방선거 이후 공공시설 투자비를 정부와 지자체가 전액지원해 분양가 하락을 유도하고 개발에 대한 부동산 지분을 당진시와 1차 사용허가자, 불법 임대한 2차 전세자에게 적적히 배분하여 2차 전세권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 혼합형 정비사업을 추진했다.

 

김 의원은 이를 위해 지난 10일 국정감사 시 혼합형 시장 정비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국 최초로 당진전통시장이 혼합형 시장 정비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청에 당진 전통시장 혼합형 시장 정비사업 용역비 25천만원을 요구했다.

 

그러나 지난 21일 당진시의 방향을 정리하기 위해 개최된 시장 정비사업 관련 시민단체 협의에서는 김동완 의원의 제안을 검토할 가치가 없는 방안이라고 평가절하 하면서 혼합형 시장정비를 추진한다면 주민투표를 통해서라도 저지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농민, 소비자, 참여연대, 환경단체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15명이 모두 김동완 의원의 제안에 반대 의견을 피력한 만큼 김홍장 시장도 오는 27일 국회에 출석해 반대의 뜻을 피력할 것이 유력하다.

 

시민단체들의 반대 이유는 크게 시민의 시장을 특정인들에게 팔는 것은 특혜의 소지가 있으며 2차 전세권자에 대한 대책마련 역시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재래시장의 역할이 무엇인지의 고민과 시장상인들의 마인드 변화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전형적 하드웨어 중심적 재개발로 인한 재래시장의 실패사례를 교훈삼아 시민 모두가 공감하는 당진재래시장의 미래상이 무언지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