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단일한 도로명주소가 부여 되면서 소방차나 순찰차 등 긴급 차량이 출동해도 도로명 주소만으로는 길을 찾아가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400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10여년의 준비를 거쳐 시행했지만 여전히 부실투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7일 안전행정부가 정청래 의원실에 제출한 '전국 아파트 도로명 부여 현황'을 보면 전국 3만7293개 아파트 단지에 도로명 주소가 부여됐는데, 이중 2만4436개 단지의 아파트에 일률적으로 한 개의 도로명 주소만 부여됐다. 문제는 아파트 단지가 넓은 경우 도로명 주소로만으로는 길을 찾아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 주소 검색 결과와 지도 상의 위치에도 차이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분포로113을 안전행정부에서 운영하는 ‘도로명 주소 안내 시스템’에서 검색한 위치와 실제 지도를 들고 찾을 수 있는 분포로 113 간의 거리는 1km에 달한다. 길 이름만 보고도 원하는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가 무색하다.
한편 일각에서는 문화재 및 한글 전문가들은 도로명 주소 시행으로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고유한 지명들이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