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3일 당진화력발전소 9, 10호기를 건설하고 있는 동서발전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기위원회 분쟁조정위원회에 “예비 송전탑 없이 기존 송전선로를 이용해 당진 9, 10호기를 가동할 수 있는지 판단해 달라”며 재정신청을 냈다.
예비 송전선로 없이 발전소를 가동할 경우 공급안정성 문제가 생기는데, 예비송전선인 당진화력-북당진 간 345kV 송전선로는 당진 10호기 완공 후 5년 뒤인 2021년 6월에나 완공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동서발전이 재정신청을 할 수밖에 없었던 전후사정이 맞다면 그 동안 정부는 송전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발전소부터 건설한 것이다.
수조원의 예산을 들여 건설한 발전소가 전기를 보낼 수 없어 5년 이상 세워둔다면 그야 말로 막대한 예산낭비가 아닐 수 없다. 그 동안 에너지시민단체에서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위해 소비지와 가까운 곳에 발전소를 짓는 등 분산형 전원도입을 요구해왔다.
지금까지 가동되고 있는 석탄화력만 400만kW, 향후 건설 예정된 것까지 합한다면 당진지역의 석탄화력은 700만kW가 넘는다. 당진지역에서 현재 건설 예정된 석탄화력이 모두 완공돼 가동된다면 세계 1위에 오르게 된다.
환경단체는 송전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지금의 상황에서 최선의 길은 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