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시행자를 찾지 못해 난관을 겪어온 황해경제자유구역 당진 송악지구(602만㎡)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7년 만에 해제됐다.
개발에도 착수하지 못한 채 해제가 돼 수년 동안 개발에 부풀었던 지역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충남도는 황해경제자유구역 송악·인주지구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사업시행자 선정에 실패했고 경제자유구역법 일몰제 적용에 따라 5일 해제된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송악·인주 지구 등 경제자유구역 14개 지구 지정을 해제했다.
이 중 10곳은 전체 면적이 해제됐고 4곳은 일부가 해제됐다.
이에 따라 지난 2007년 각각 중국무역전진기지, 황해경제전진기지로 육성한다는 취지로 지정된 송악지구와 인주지구는 결국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피해와 함께 주민 간 찬반 갈등 등 상처만 남기고 종지부를 찍게 됐다.
안 지사는 황해경제자유구역 해제를 계기로 새로운 경제산업전략을 모색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5일 김정환 개발위원장은 송악 이장단 회의에서 이 같은 사실을 말하고 주민들에게 안지사의 앞으로의 행보에 해 전했다.
문제는 주민들의 보상 해결이다. 송악·인주 지구는 2007년 12월 지정과 동시에 모든 개발행위가 제한됐다.
충남도는 경자구역 지정으로 인해 지역개발 사업이 지연되는 등 지역에서 입은 특별한 희생에 대해서는 적극 지원하고 송악등 해제지구에 대해 중앙부처 및 해당 시와 협력해서 특별 지원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