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완공을 앞둔 석탄 화력발전소가 송전선로 문제 때문에 가동을 못할 상황에 부딪쳤다.
주민들의 집단 반발과 정부의 안일한 대응 등으로 인해 예비 송전탑과 선로 건설 결정이 2년 가까이 늦어지고 한국전력과 동서발전 사이에 비용 분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착공조차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동서발전은 기존 송전선로를 이용해 당진화력 9·10호기를 가동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 재정신청을 제기했다,
본래 기존 선로를 이용해 전기를 보낼 예정이었지만, 한국전력이 "발전소 측이 북당진변전소까지 이어지는 예비 송전망을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양측의 갈등이 불거졌다. 전기위원회의 2012년 결정에 따라 예비 송전선을 추가로 설치하라는 것이다.
예비 송전선은 발전소의 필요 시설인 만큼 한전이 건설할 의무가 없다는 이야기다.
업계에서는 30㎞에 이르는 새 송전선로를 땅 밑을 통하는 지중화(地中化)로 건설할 경우 1조원, 송전탑을 세우는 방식을 택하면 5000억원이 투입돼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중화는 비용은 많이 드는 반면 공사 기간이 2년 내로 짧지만, 송전탑을 세우게 되면 민원 등으로 5년 이상 걸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당진화력 9·10호기 인근에 건립 예정인 동부발전당진의 동부그린 1·2호기도 송전선로 건설 비용을 나눠 부담해야할 상황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