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은 현재 521개의 철탑으로 송전탑이 포화된 상태다. 여기에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수백기의 철탑이 추가로 들어선다.
지자체 단위로 보면 전국에서 손꼽을 정도로 많지만 여기에 정부와 한전이 또다시 철탑을 추가로 세
우겠다고 발표했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21년까지 당진에 300여기의 철탑을 추가로 세우겠다는 것인데 지금 철탑으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는 이루 말 할 수 없을 정도다.
송전철탑은 경관훼손, 주변의 지가하락에 따른 사유재산권 침해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주민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다. 이로 인해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등 갈등양상이 극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당진의 경우 345㎸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건설 문제가 지역사회의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 노선은 아산을 제외한 당진이 16㎞로 당초 당진시에서 지중화나 해월선로를 주장했었다. 하지만 한전이 육지선로 와 일부 3.5㎞ 지중화를 고수하고 있어 6.5㎞ 지중화를 요구하고 있는 송전선로 반대대책위원회와 극심한 대립관계에 있다.
당진과 서해안지역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지역에서 3분의 1가량 소비되고 나머지는 수도권지역 과 산업시설에 공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수요자부담 원칙에 따라 최소한의 형평성을 확보하고 피해주민을 위한 보상이 절실한 시점이다.
한전측이 송전선로 지중화에 드는 예산부담으로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요금의 현실적 차등화를 통해 갈등해결의 길을 열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