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제철㈜ 당진공장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등 전국 26개 대형사업장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위해 적극 노력키로 결의했다.
자발적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최근 중국발 미세먼지 및 황사로 인해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최대한 줄이기로 환경부와 합의했다.
자발적 협약에 참여한 사업장은 한국서부발전㈜ 태안발전본부와 한국중부발전㈜ 보령화력본부 등 발전업, 성신양회㈜ 충북 단양공장과 아세아시멘트㈜ 제천공장 등 시멘트 제조업체, 동부제철㈜ 당진공장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등 철강업체 등 26개 사업장이다.
이번 협약식을 통해 미세먼지와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3개 오염물질의 저감을 2017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협약에 참여한 사업장은 협약기간 동안 배출시설의 적정한 운영, 최적방지시설 가동, 시설 개선, 청정연료 전환 등을 통해 오염물질을 저감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미세먼지 경보발령으로 오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먼지관리 강화,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 이용 등 사업장 별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한 협약 사업장별 구체적인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물질의 저감목표량, 투자계획 등은 사업장에서 자체 실정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26개 사업장은 전국 1~3종 사업장 수의 (3,953개소, 44만 7,000톤 배출량) 0.7%에 불과하지만, 오염물질 배출량은 53%(23만 7,000톤)나 차지해 사업장의 노력에 따라 저감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이번 자발적 협약에 참여하는 사업장이 협약 실천을 잘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향후 협약 사업장이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과 제도적 지원방안을 강구하고
새로운 정책 추진 시 자발적 협약으로 기업이 불이익을 받지 않게 조치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자발적 협약 기간인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사업장에서 수립한 저감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