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 읍내동 부근에 건축 붐으로 각종 건축공사가 곳곳에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소규모 건축현장에 불법행위가 만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소규모 건축현장의 경우 주거지와 인접한 곳에서 진행되고 있어 불법행위로 인한 시민들의 생활불편이 도를 넘고 있다.
소규모 건축현장의 가림막 및 안전망 미설치, 차도 건축자재 야적 등 불법 및 탈법을 일삼고 있으나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과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를 관리해야할 현장 소장은 “이렇게 작은 소규모건축현장까지 일일이 감시하면 우리는 어떻게 일하냐.”며 “이런 것 들은 시에서도 봐줘야한다고”오히려 자기 입장을 강력히 주장했다.
또 다른 관리자는 제작진의 “안전 표지판이 왜 설치 돼있지 않냐?” 는 질문에 “시청에 건축허가를 받았으며” “오늘부로 도로자재들을 전부 정리할 것”이라는 등 대답을 회피했다.
실제 최근 원룸건축 붐이 일고 있는 읍내동 원룸촌 일대의 경우 대부분 공사현장의 인도 및 차도에 건축자재를 적재하고 공사를 강행해 교통 및 보행환경을 크게 해치고 있다.
또한 인근 건축물이나 주거지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한 가림막이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조차 설치하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를 위협하고 있다.
주민 김씨는 "인도에 건축자재를 한 달 이상 쌓아놓고 공사를 강행해도 누구 하나 제지하는 사람이 없다"며 "현장을 찾아가 항의하면 전부 나 몰라라 식의 답변을 내놓았다"고 말했다. 이어 “보행하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으며, 안전 표지판이 설치되어야한다”며 “특히 밤에는 아무것도 안보이고 건축자재에 부딪쳐 아찔한 순간들이 많았다”며 불편을 호소했다.
또 다른 상가주인은 “손님들이 상가를 찾을 때마다 공사현장에서 나오는 못 등 날카로운 물질 때문에 타어에 흠집이 생겨 불편을 겪는다.”고 불만을 하소연했다.
문제는 이 뿐만 아니라 건축현장의 다수의 인부들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채 작업에 열중하고 있는 등 위험에 노출돼 있어 하루빨리 지도와 단속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당진지역 건축신고 및 허가건수가 2012년에는 1238건, 2013년에는 1148건에 이를 정도로 최근 건축 붐이 일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