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는 일제 시대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발전사와 관련된 역사 기록물 찾기에 나섰다.
이번 조사는 역사 기록물이 미래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해외 공관에서 3.1운동 피살자 명부 공개 등 관리 허술이 도마 위에 오르며 역사기록물 관리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이뤄졌다.
조사기간은 24일까지이며, 일제강점기 피해기록과 관련된 모든 기록물과 정부수립 이후 정치?경제?사회?문화와 관련된 모든 기록물이 조사 대상이다.
특히 ▲ 일제시대 농정.지적, 주민, 국유재산과 관련된 경제자료 ▲ 징용자. 수용자명부, 신분장, 수형인 명부 등 지역주민 통제 기록 ▲ 새마을 운동, 국토개발 관련 기록물 ▲ 근현대 정치 변혁기 피해자 조사 관련 기록물 등을 중점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우선적으로 기록물 서고 등 기록물에 대한 소재지 및 관리현황 파악에 나서는 한편 자체 조사목록을 재정비하고, 민간에서 수집·보관하고 있는 기록물에 대해서도 자료수집에 나선다.
이번 조사기간에 확인 된 기록물 중 가치가 높은 기록물은 국가기록원에 이관 예정이며 사료적 가치가 높은 민간 기록물은 국가기록원, 안전행정부가 공동 조사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가정마다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의 많은 기록물이 있을 것”이라며 “관련 기록물을 보관하고 계신 지역주민께서는 시청 안전행정과로 제보해 주셔서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에 앞장 서 주실 것”을 당부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