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삽교호에서 폐사한 가창오리 19마리도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부검 결과 삽교호에서 폐사한 가창오리도 AI에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이석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장은 “삽교호에서 발견된 가창오리 폐사체를 부검한 결과 AI 감염의심 증상이 보였다.”고 말했다. 삽교호는 이번 AI 사태의 진원지인 전북 고창군 동림저수지에서 약 140㎞ 떨어져 있다.
이에 앞서 충남 서천군 금강하구에서 폐사한 가창오리도 부검 결과 AI에 감염됐을 것으로 나타나 전북에서 발생한 AI가 충남으로 옮겨갈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AI가 전국적 확산 조짐을 보이자 방역당국이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방역대를 설정하고, 전국 주요 저수지에 대한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나섰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최대 먹이활동 반경까지의 이동경로를 방역대로 설정, 예찰과 소독활동을 실시하기로 했다. AI 발병 농가를 중심으로 반경 10㎞까지 설정했던 방역대를 대폭 확대한 것이다. 정부는 우선 철새 도래지 및 과거 AI가 발생됐던 집중관리지역에 대해 야생조류 분변·폐사체에 대한 채취 검사를 대폭 확대한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농협, 가축위생방역본부를 통해 철새 도래지 주변 도로에 차량 방역시설을 설치하는 한편 철새 도래지 주변 및 인근 농장에 대해 상시소독을 실시키로 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전국 64개 저수지와 담수호에 대한 예찰활동에 돌입한다. 저수량 500만t 이상인 저수지 56곳과 주요 철새 도래지 담수호 8곳에 대한 출입을 제한하고, 탐조 초소를 설치해 철새의 이동 동향, 철새 폐사체 발견 여부 등을 조사한다. 공사는 또 전국 저수지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23일 오전 경기 의왕시 사옥에 ‘AI방역지원상황실’을 설치했다.
또 중국의 설인 춘절(春節·31일∼2월 6일)과 우리의 설(31일) 명절이 겹치는 기간이 AI 확산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AI 등 가축전염병 유입 방지를 위한 국경 검역을 강화할 방침이다.
방역당국은 "동림저수지의 가창오리는 20일 20만 마리가 있었으나 23일에는 8만 마리로 줄었으며 금강하구의 가창오리는 21일 10만 마리에서 23일 22만 마리로 늘었다."고 밝혔다.
환경부 조사결과 23일 기준 동림저수지에는 가창오리 8만 마리, 금강하구에는 22만 마리, 영암호는 5만5000마리, 삽교호에는 1만9000마리가 월동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농식품부는 21일 이후 이날 오전까지 방역대 밖에서 추가로 들어온 감염의심 신고는 없으며 AI에 오염된 것으로 확인된 농가도 늘어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