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추진 중인 개방형 읍·면·동장제 시범사업을 두고 공무원 사회에서 반발이 일고 있습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세종충남지역본부장은 “읍·면·동장에 민간인 출신을 영입 하는 건 행정력 낭비”라고 주장했습니다.
◀SYNC▶(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세종충남지역본부장)
4;16~4;26
주민들에게 생소한 민간인 출신이 임명된다면 공직 업무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본부장은 전화통화에서 “개방형 인재 사업 자체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하며 “그러나 공직 경험이 없는 민간인 출신은 주민 간 갈등 해결과 직무 수행에 미흡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개방형 인재채용과 관련해 시·군에도 반대 입장을 지속적으로 표명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앞서 충청남도는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고, 2022년까지 공주시 중학동과 당진시 신평면에서 개방형 읍·면·동장제를 시범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충남도 관계자는 해당 시·군에서 추진 의지가 있는지, 주민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었는지를 고려해 시범 지역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도 관계자는 “개방형 읍·면·동장제 채용에 지원한 20명(당진시 신평면장직 13명, 공주시 중학동장직 7명)을 대상으로 면접심사와 주민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상태”라고 전하며 “내달 4일 계획된 주민심사를 마지막으로 채용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SYNC▶(충남도청 관계자)
3:20~3:28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시범사업입니다.
또 “주민의 의견이 반영된 인재를 뽑을 수 있고, 전문성을 가진 민간인을 도입해 발전을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JIB 뉴스 이정원입니다.
![]() | |